<계시록> 넷플릭스 영화 정보(스포x)|연상호 감독 X 류준열 X 신현빈의 심리 스릴러 기대작
넷플릭스 영화 정보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5년 3월 21일 전 세계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연상호 감독, 류준열, 신현빈, 신민재까지! 이름만 들어도 기대되는 라
runnerbonnie.tistory.com
넷플릭스 '계시록' 연상호 감독 신작
2025년 3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연상호 감독의 신작 『계시록』은 기존 좀비나 괴물물과는 또 다른 차원의 심리 스릴러입니다.
류준열, 신현빈 주연의 이 작품은 동명의 네이버 웹툰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그 충격적인 전개와 철학적인 메시지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시록 원작 웹툰의 전체 줄거리와 결말까지를 요약하고,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에 대해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스포일러 주의: 본문에는 결말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줄거리 요약: '계시'인가, '망상'인가
작은 개척교회를 운영하는 목사 성민찬(류준열)은 어느 날 교회에 처음 온 수상한 남자 권양래(신민재)를 만나게 됩니다. 권양래는 과거 성범죄 전과가 있는 보호관찰 대상자로, 성민찬은 그를 처음 본 순간부터 ‘악마’로 인식하기 시작하죠.
이후 성민찬의 아들이 실종되고, 동시에 번개 속에 악마 같은 형상을 본 그는 ‘권양래가 아들을 해쳤다’는 계시를 받았다고 믿으며 그를 추격합니다. 성민찬은 우발적인 상황 속에서 권양래를 절벽 아래로 밀어버리지만, 정작 그 순간 아들은 무사히 발견되고, 성민찬은 점점 광기의 늪으로 빠져듭니다.
👁️ 권양래는 악마인가, 피해자인가
이야기는 단순히 사이코패스 범죄자(권양래)가 주인공(성민찬)의 ‘신앙심’과 충돌하는 구조가 아닙니다. 권양래는 어릴 적 계부로부터 극심한 신체적・성적 학대를 받아왔으며, 그로 인한 정신질환으로 범죄를 저지른 인물입니다.
정신과 의사는 권양래가 '살인' 자체에 집착한 것이 아니라, 학대받는 상황을 재현하려는 충동에 시달린다고 설명하죠. 하지만 성민찬은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채,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성경 구절, 자연의 형상, 환영 등 모든 것을 ‘계시’로 해석합니다.
🎯 클라이맥스: '신의 뜻'이라는 이름의 폭력
성민찬은 요양원에서 발견된 권양래를 납치해 버려진 호텔에 감금합니다. 권양래는 실종된 소녀 아영의 행방을 아는 유일한 인물인데, 성민찬은 '신의 이름'으로 그를 폭행하고 살해하려 합니다.
이 사건을 추적하던 경찰 이연이는 성민찬에게 붙잡혀 위험에 빠지지만, 간신히 반격에 성공해 권양래를 구하려 하죠. 그러나 끝내 권양래는 추락사하고, 아영의 위치는 알 수 없게 됩니다.
💡 반전과 결말: '진짜 악마는 누구인가'
이후 경찰 조사에서 성민찬은 모든 행위를 ‘주님의 계시’에 의한 정당한 심판이라 주장합니다. 그러나 정신과 전문가는 그의 상태를 조현형 인격장애로 진단하며, 무의미한 정보 속에서도 ‘신의 계시’를 만들어낸 망상형 신앙광(狂)으로 분석합니다.
결국 아영은 살아있는 채 구조되며, 이연이의 죄책감은 해소되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감옥 안의 성민찬이 벽에 나타나는 ‘악마의 형상’을 계속 지우려 하지만, 지워지지 않는 악마의 그림자는 그가 곧 악마였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 계시록의 핵심 메시지
『계시록』은 단순한 스릴러나 종교 비판물이 아닙니다. 이 작품은 “신의 뜻이라는 이름으로 저지르는 개인의 폭력과 망상”을 날카롭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 ‘계시’와 ‘망상’은 때로 동일한 얼굴을 하고 있으며,
- 선과 악의 경계는 절대적이지 않고, 언제든 개인의 신념에 따라 왜곡될 수 있습니다.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연상호 감독의 ‘사이비’, ‘지옥’ 스타일을 좋아하는 분
- 종교와 광기, 심리 스릴러 요소에 흥미가 있는 분
- 웹툰 원작 기반으로 한 웰메이드 드라마・영화를 선호하는 분
- ‘선악의 기준’과 ‘인간의 자기 확신’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은 분
✍️ 마무리 감상
『계시록』은 연상호 감독 특유의 종교 철학과 사회 비판이 집약된 작품으로, 단순한 스릴러가 아닌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이야기입니다.
누군가에겐 ‘믿음’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광기'일 수 있는 그 간극을 섬뜩하게 표현했죠.
넷플릭스에서 이 영화를 감상하신 분들이라면, 원작 웹툰을 통해 더욱 깊은 해석과 여운을 느껴보시길 추천합니다.